Metaverse Newsletter

메타버스 패션 : 자기 표현의 방식

메타포_이수연 2023. 11. 14. 00:45

 

패션업계에서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로블록스가 ‘‘2023 디지털 표현, 패션 & 뷰티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중 메타버스에서의 패션 관심 증가의 이유에 대해 4가지로 분석해 발표한 바가 있다.

1. 가상 세계 속 자기표현의 확대

로블록스 속 모든 사용자 경험은 자신의 아바타를 구현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사용자는 아바타의 몸과 머리, 피부색, 이목구비와 헤어스타일뿐만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아우라, 어깨 장식 아이템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제 로블록스의 Z세대 사용자는 자기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디지털 패션 아이템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식으로 아바타 스타일링을 하고 있다.

일례로, 로블록스 커뮤니티에서 제작한 일부 가상 체험에서는 현재 아바타 메이크업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로블록스 Z세대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아바타의 헤어스타일을 자유롭게 바꾸고 있다. 이로 인해 올해 로블록스에서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1억 3,900만 개 이상의 헤어스타일 아이템이 판매되었으며, 그 중 5개 이상의 헤어스타일을 구매한 사용자도 무려 730만 명 이상에 달해 자기표현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로블록스에서 자기표현의 방식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실제로 로블록스는 시그니처 댄스 등 ‘감정 표현’으로 불리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며 자기표현의 수단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로블록스 사용자들은 패리스 힐튼(Paris Hilton)의 슬리빙랜드(Slivingland)가 제공하는 컬러풀한 색감의 ‘오라’ 중 자신의 현재 기분에 어울리는 오라를 선택하는 등 판타지 동화 같은 감성의 장신구를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2. 현실 세계 스타일링에 영향을 주는 아바타 스타일링

아바타의 스타일링이 현실세계의 스타일에 미치는 높은 영향력 역시 주목해야 할 트렌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로블록스 Z세대 사용자의 절반 이상(56%)은 현실 세계에서 자신을 스타일링하는 것 보다 아바타를 스타일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답한 가운데, 연령별로는 응답자 중 다소 높은 연령대(22~26세)의 그룹에서 3분의 2의 사용자가 이러한 중요성에 크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Z세대 사용자 5명 중 2명은 현실세계의 자신보다 메타버스에서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쉽다고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보고서는 자신의 현실 패션이 디지털 패션에 적어도 어느정도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한 사용자가 84%, 매우 또는 극도로 영향을 받는다고 답한 응답자가 54%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는데, 이는 로블록스의 Z세대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 자신을 표현하는데 가상 세계 활동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밖에도 응답자의 42%는 아바타 패션이 현실 세계에서 자신의 패션 스타일 유형을 확장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37%는 자신의 아바타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에서 자신의 헤어스타일을 바꿨으며, 34%는 더욱 대담한 패션이나 컬러를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29%의 응답자는 현실 세계에서 젠더 플루이드(Gender Fluid-성별 정체성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전환되는 것) 스타일링으로 꾸미는 것이 편해졌으며, 특히 자신을 성소수자(LGBTQ+)라고 밝힌 Z세대 사용자의 경우 이보다 높은 37%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3. 가상 세계 속 진정성 있는 자기표현이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

응답자의 대다수(88%)는 몰입형 공간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실제 현실에서 자신을 편안하게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는데, 특히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29%), 자신감을 높이며(24%), 진정성 있게 자기표현을 하고(21%), 다른 방식으로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데(25%)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는 메타버스에서 Z세대의 대다수는 용모를 단장하는 이유가 다른 사람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라는 점이다. 아바타를 꾸밀 때 응답자의 약 3분의 2(62%)는 아바타의 모습이 스스로에게 만족스러운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한 반면, 타인의 긍정적인 평가가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3분의 1(3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세대 응답자 5명 중 2명(40%)은 현실 세계보다 메타버스에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쉽다고 답하며, 그 이유로는 더 많은 “표현의 자유”와 “창의적인 방법” 등을 꼽았다. 또, 아바타를 통해 몰입형 공간에서 “원하는 모습의 누구든 될 수 있다”며 다른 사람과 소통할 때 “서로 평가를 덜 한다”고 답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실 세계보다 메타버스에서 외모에 대한 평가를 덜 받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2배 더 많았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바타를 통해 몰입형 공간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현실 세계의 2D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올리는 것보다 더 흡족하고 “나 답다”고 느낄 확률이 2.2배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4. 디지털 패션이 실제 브랜드 선택에 영향 미쳐 

Z세대 응답자의 84%는 디지털 패션이 자신에게 어느 정도는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85%는 지난 한 해 동안 디지털 패션의 중요성이 어느 정도 증가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 이상(53%)은 그 중요성이 많이 증가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디지털 패션에 있어 독창적인 스타일과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절반 이상(52%)은 아바타가 ‘멋지다’고 생각이 들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스타일리시한 디지털 의상’을 꼽았다. 또한 4명 중 3명은 유명 브랜드의 디지털 패션을 입는 것이 적어도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말했고, 그 중 응답자의 절반 가량(47%)은 매우 또는 극도로 중요하다고 답했다.

아울러 Z세대 응답자 5명 중 4명 이상(84%)은 가상 공간에서 특정 브랜드 제품을 착용해보거나 입어보는 것이 현실 세계에서 해당 브랜드를 고려하는 데 적어도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으며, 실제로 절반(50%)은 고려할 가능성이 매우 또는 아주 많이 높다고 답했다. 

많은 Z세대 소비자는 더 나아가 브랜드가 현실 세계와 가상 패션 간 크로스오버(crossover)가 가능한 아이템을 제공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 5명 중 2명 이상(43%)은 브랜드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에서 모두 입을 수 있는 ‘트윈’ 아이템 제공을 바라는 반면, 3분의 1 이상(36%)은 아직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별한 디지털 전용 아이템을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5. 디지털 경제의 번영

마지막으로, 로블록스 Z세대 사용자들이 자기표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며 디지털 패션에 돈을 흔쾌히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패션에 지출하는 유형을 살펴보면  월 최대 10달러(약 1만 3천 원)까지 지출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용자는 52% 월 최대 20달러(약 2만 6천 원)까지 지출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19% 월 50~100 달러(약 6만 5천 ~13만 1천 원)를 지출할 의향이 있는 사용자는 18%를 차지했다.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로블록스는 올해 초 독점 및 희귀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UGC 크리에이터가 한정된 아이템을 출시할 수 있는 ‘리미티드(Limited)’ 아이템출시 기능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 기능이 출시된 후 현재 로블록스 상에서는 대다수의 리미티드 아이템이 원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재거래되고 있다.

한편, 로블록스가 발표한 ‘‘2023 디지털 표현, 패션 & 뷰티 트렌드’ 보고서 전문은 로블록스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